블로그 수익,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네, 반드시 해야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를 통한 광고 수익(애드포스트), 협찬(PPL), 제휴마케팅 수익 등은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 으로 분류되어 세금 신고 대상이 됩니다.
수익 발생 즉시 세금 신고 의무가 생기며, 신고를 누락할 경우 가산세 및 세무조사 위험이 커집니다.
블로그 수익, 어떤 경우에 세금을 내야 할까?
✅ 연간 수익이 300만 원 이하 ➔ 기타소득 신고
✅ 연간 수익이 300만 원 초과 ➔ 사업소득으로 신고
✅ 월 100만 원 이상 꾸준한 수익 ➔ 사업자 등록 권장
📌 Tip:
블로그로 일정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면, 개인사업자로 등록하는 것이 절세와 사업 확장의 핵심입니다.
블로그 수익 세금 계산법
① 기타소득일 경우
(수익 - 필요경비 60%) × 소득세율(6%~)
② 사업소득일 경우
(수익 - 실제 발생 경비) × 소득세율 + 부가가치세(10%)
연간 소득금액적용 | 소득세율 |
1,200만 원 이하 | 6% |
1,200만 원 초과 ~ 4,600만 원 이하 | 15% |
4,6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8,800만 원 초과 | 35% 이상 |
블로그 수익 세금 계산기 사용 방법
정확한 세금 계산이 어렵다면?
국세청 홈택스 '종합소득세 간편 계산기'를 이용하세요!
- 국세청 홈택스 접속
- '모의계산' 메뉴 → '종합소득세 간편 계산' 선택
- 수익 금액 및 예상 경비 입력 → 자동 세액 계산
📌 Tip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전에 미리 모의 계산을 해보면 세금 대비 자금 준비에 도움이 됩니다.
블로그 수익 신고 절차
1. 기타소득자 신고 방법
-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5월) 동안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
- 필요경비 60% 자동 적용, 간편 신고 가능
2. 사업소득자 신고 방법
- 사업자등록 필수(업종코드: 58221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 매년 종합소득세 + 부가세 신고 필요(매출 8천만 원 이상 일반과세자)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신고 방법
✅ 애드포스트 수익은 '광고수익'으로 분류
✅ 네이버가 원천징수(3.3%)를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연간 수익을 신고해야 함
✅ 누락 시 가산세 부과
📌 주의:
원천징수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수익은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블로그 수익 세금 신고 예시
예시 1. 연간 수익 200만 원 (기타소득)
- 필요경비 60% 공제 → 과세 대상 80만 원
- 소득세 6% 적용 → 약 4만 8천 원 납부
예시 2. 월 200만 원 수익 (사업소득)
- 연간 2,400만 원 매출 발생
- 경비 30% 인정 시 과세 대상 약 1,680만 원
- 소득세 15% 적용 → 약 25만 2천 원 납부 + 부가세 별도
블로그 수익 세금 신고 주의사항
✅ 광고수익뿐만 아니라 협찬, 제휴마케팅 수익도 모두 합산 신고
✅ 세금 신고 시 필요한 영수증, 비용 증빙자료는 반드시 보관
✅ 사업자등록 후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관리 필요
블로그 수익을 지키려면 세금부터 챙기자
2025년에는 세무당국의 디지털 추적 강화로 인해,
블로그 수익 신고 누락 시 위험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블로그 수익이 크든 작든,
정확한 세금 신고와 절세 전략을 통해
당당하고 똑똑한 블로거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