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튜브 수익, 세금 신고해야 할까?
네, 무조건 해야 합니다.
유튜브 광고 수익은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소득세와 경우에 따라 부가세 신고까지 해야 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 및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 수익 창출 조건 (2025년 기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 가입이 필수입니다.
2025년 기준, 수익 창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독자 500명 이상
✅ 공개 동영상 시청 시간 3,000시간 이상 (또는 쇼츠 300만 조회수)
✅ 2단계 인증 완료
✅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위반 경고 없음
📌 Tip:
쇼츠(Shorts)를 활용하면 비교적 빠르게 수익 조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수익 세금, 어떻게 분류되나?
✅ 기타소득 (연소득 300만 원 이하)
- 필요경비 60% 인정
- 남은 금액에 대해 소득세 부과
✅ 사업소득 (연소득 300만 원 초과 또는 지속 수익 발생)
-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
- 연 2회 부가가치세 신고 필요(매출 8천만 원 이상 시)
유튜브 수익 세금 계산 방법
① 기타소득일 경우
(수익 - 필요경비 60%) × 소득세율
② 사업소득일 경우
(수익 - 실제 경비) × 소득세율 + 부가세(10%)
연간 소득금액적용 | 소득세율 |
1,200만 원 이하 | 6% |
1,200만 원 초과 ~ 4,600만 원 이하 | 15% |
4,6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8,800만 원 초과 | 35% 이상 |
유튜브 수익 세금 계산기 사용 방법
세금 계산을 쉽게 하고 싶다면?
국세청 홈택스 '모의계산기'를 활용하세요!
- 국세청 홈택스 접속
- '모의계산' 메뉴 → '종합소득세 간편 계산기' 선택
- 수익 금액 입력 → 자동 세금 추정
📌 Tip:
매년 소득 규모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연말에는 꼭 미리 세금 모의 계산을 해보세요.
유튜브 수익 신고 절차
1. 기타소득자 신고 방법
-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5월) 동안 홈택스에서 신고
- 간단 입력 → 자동 계산
2. 사업소득자 신고 방법
- 사업자 등록 후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연매출 8천만 원 초과 시 부가세 신고(1월, 7월)
3. 해외 광고 수익(예: 구글 애드센스) 신고
- 외화로 수령한 광고 수익도 국내에서 반드시 신고해야 함
유튜버 세금 신고 주의사항
✅ 광고 수익 외에도, PPL, 슈퍼챗, 강의료 등 모든 수익 합산 신고
✅ 경비 처리를 제대로 해야 과세 대상 소득 줄이기 가능
✅ 누락 신고 시 무신고 가산세(20%) 부과 주의
유튜브 수익 신고 예시
예시 1. 연간 수익 150만 원 (기타소득)
- 필요경비 60% 공제 후 60만 원 과세 대상
- 소득세 약 3만 6천 원 부과
예시 2. 연간 수익 3,000만 원 (사업소득)
- 경비 30% 인정 시 2,100만 원 과세 대상
- 소득세 약 31만 5천 원 + 부가세 별도
유튜브 수익, 세금 전략이 생존 전략이다
유튜브를 통한 수익 창출이 본격화되었다면,
세금 신고도 필수로 챙겨야 수익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세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수익 발생 초기부터 '세금 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