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약통장 해지, 납입횟수, 25만원, 가입 총정리|2025년 최신판

by 평오니3 2025. 4. 29.
반응형

 

청약통장이란?

청약통장은 주택청약을 위한 필수 금융상품입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공공분양 등 다양한 주택 청약 시 당첨 자격을 결정짓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입니다.

2025년 현재, 청약통장은 주택청약종합저축 하나로 통합 운영되고 있습니다.

 

👉 [KB 청년주택 청약통장 바로가기]


청약통장 해지하면 어떻게 될까?

임의 해지 가능

  • 통장 유지 기간에 따라 가산점이나 순위가 사라집니다.
  • 기존에 쌓은 납입 횟수, 가입 기간 모두 사라짐

주의사항

  • 해지 후 바로 재가입은 가능하지만,
    ➔ 가입 기간은 다시 0일부터 시작
  • 특히 무주택 기간과 연동되는 경우 주의 필요

예외

  • 1회성 실수나 특별사유(예: 본인 명의 주택 취득 후 일정 조건 충족)는 일부 예외 인정 가능

📌 Tip: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청약통장은 해지하지 말고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청약통장 납입횟수, 왜 중요할까?

청약 가점제에서는 다음 3가지를 봅니다.

  1. 무주택 기간
  2. 부양가족 수
  3. 청약통장 납입 횟수

납입횟수 = 매월 1회씩 납입한 횟수

예시설명
매달 10만 원씩 36개월 납입 36회 인정
한 번에 300만 원 일시불 납입 1회 인정 (주의!)

즉, 한꺼번에 큰 금액을 넣어도 '횟수'가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매월 꾸준히 납입해야 가점이 쌓입니다.

✅ 2025년 기준 가점 인정 최대 납입횟수: 24회 이상부터 높은 점수 반영

📌 Tip:
매달 자동이체로 25만 원씩 납입 설정해 두는 것이 최적입니다.


청약통장 월 납입액, 25만 원으로 변경된 이유

2025년부터 청약통장 제도가 바뀌어
✅ 월 인정 납입액 상한이 기존 10만 원 → 25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 구분 | 2024년까지 | 2025년 이후 | |:---|:---| | 월 인정 한도 | 10만 원 | 25만 원 | | 가점 쌓이는 속도 | 느림 | 빠름 |

 

효과

  • 청년층이나 무주택자들이 빠르게 납입횟수 및 예치금을 채워 청약 가점 상승 가능
  • 내 집 마련 계획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

✅ 매월 25만 원씩 납입하면
➔ 2년 만에 약 600만 원 납입 가능


청약통장 가입 조건은?

연령: 만 19세 이상 누구나 가입 가능
(단, 만 19세 미만이라도 세대주라면 가입 가능)

국적: 대한민국 국민 (외국인은 가입 불가)

금액

  • 매월 최소 2만 원 이상 납입 가능
  • 납입액은 5만 원, 10만 원, 25만 원 등 자유롭게 설정 가능

가입처

  •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농협, 하나은행 등 시중 주요 은행

유의사항:

  • 동일인이 2개 이상 청약통장 소지 불가 (1인 1통장 원칙)

📌 Tip:
현재는 주택청약종합저축 하나만 신규 가입 가능하며,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별도 요건 충족 시 가입 가능.


청약통장 가입 후 반드시 체크해야 할 것

✅ 자동이체 설정 (납입 횟수 놓치지 않기 위해)
✅ 주소지 업데이트 (특별공급 신청 시 필요)
✅ 무주택 기간 관리 (주택 구입 여부 신중하게 결정)


2025 청약통장 변경사항 요약표

항목 변경 전 변경 
월 납입 인정액 10만 원 25만 원
소득공제 한도 연 240만 원 연 300만 원
금리 최대 2.8% 최대 3.1%
배우자 통장 합산 불가 가능
무순위 청약 누구나 가능 무주택자만 가능

청약통장, 해지하지 말고, 매월 25만 원씩 꾸준히 납입하세요!

청약통장은
'오래 유지하고,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2025년부터 월 25만 원 인정으로 바뀐 만큼,
빠른 가점 상승을 노리는 분들은 지금부터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KB 청년주택 청약통장 바로가기]

 

반응형